어떤 메타버스에서 시작할까, 메타버스 비교
이디비랩은 아바타나 에셋의 디자인 그리고 확장한다면 메타버스 게임 등에 관심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메타버스에서 시작해야 할까? 그래서 나름 지표를 가지고 사용할 메타버스를 선택해 볼 예정이다.
ARTX Campus는 메타버스에서 필요한 디지털 디자인을 가르치는 학원이다.
학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중 Metaverse Creative에 메타버스를 위한 3D 모델링을 강의하고 있다.
ARTX Campus Metaverse Creative >
이 강의 목록을 보면 3개의 종류의 메타버스가 나온다. 더 샌드박스 The Sandbox, 로블록스 ROBLOX, 제페토 ZEPETO.
이 3개가 현재 많이 사용되는 메타버스로 보인다.
조사할 시간이 많지 않아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 3개를 비교해 보았다. 추후 더 알게 되는 내용이 있으면 추가할 예정이다.
속성
|
제페토
|
로블록스
|
더 샌드박스
|
블록체인
|
중앙 집중
|
중앙 집중
|
오픈
|
3D 그래픽
|
Tessellation(예측)
|
고정된 블록 B-Rep(예측)
|
Voxel
|
애니메이션
|
?
|
가능(예측)
|
가능
|
게임
|
?
|
가능(예측)
|
가능
|
속성 중 블록체인 부분은 중앙 집중보다는 오픈된 형태가 다른 체계와 통합 등을 통한 발전 가능성이 높을 것 같다.
메타버스의 3D 환경은 현재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계산 능력과 네트워크 용량 제한 때문에 가벼운 3D 모델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메타버스는 기존 온라인 게임보다 자유도가 높고 여러 사용자가 함께 활동하는 것이 상시화되어 있어 얼마나 가벼운 3D 그래픽을 구현하느냐가 중요할 것 같다.
그래서 로블록스는 레고 블록처럼 고정된 3D 객체를 조립하듯이 연결해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실제 해본 적이 없어 이미지 들을 보고 예측하였다). 더 샌드박스는 Voxel이라는 단위 육면체를 모아서 3D를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반면에 제페토는 다각형(주로 삼각형) 평면 조각을 붙여서 3차원 상에 곡면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한 것 같다(이를 Tessellation이라고 한다). 이 방법은 패치를 끌거나 눌러 부드러운 곡면을 표현할 수 있어 제페토는 앞의 두 메타버스에 비하여 사실적인 얼굴과 옷 등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이 3D 모델은 계산이 많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많은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어렵다. 또한 한번 특정 3D 모델을 선택하면 다른 방식으로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러한 면들을 고려했을 때 현재로서는 로블록스와 더 샌드박스가 이디비랩의 요구에 더 맞는 것 같다. Voxel은 단위 육면체를 더 작게 자를 경우 보다 상세한 표현도 가능하므로 더 샌드박스가 더 유연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
2023 EDBLab
2/18/2023 처음 2/18/2023